티스토리 뷰

직업

전기전자부품조립원 하는 일, 되는 법, 연봉

머니팩토리사장 2025. 5. 23. 12:00
728x90
728x90

전기전자부품조립원

전기전자부품조립원은 전자기기 및 전기 장비의 핵심 부품을 조립하고 검사하는 전문 기술인력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전자부품조립원의 하는 일, 되는 법, 연봉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

하는 일

전기전자부품조립원하는일
전기전자부품조립원 하는 일

전기전자부품조립원은 반도체, 스마트폰, 컴퓨터, 가전제품, 자동차 전장 시스템 등 다양한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부품을 정확하게 조립하고, 제품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테스트 및 검사를 수행하는 직무를 담당합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자부품 조립: PCB(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납땜하거나 장비를 이용해 장착하고, 소형 부품들을 정해진 규격에 따라 조립합니다.
  • 기계 조립 지원: 조립 자동화 장비를 활용해 생산라인을 운영하거나 수작업 조립 시 기계를 보조합니다.
  • 품질 검사 및 테스트: 조립된 부품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고 불량 여부를 판단해 분류합니다.
  • 작업 공정 기록 및 보고: 조립 및 검사 과정에서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작업 상황을 보고합니다.
  • 장비 유지보수 협조: 생산설비나 검사 장비의 간단한 점검 및 이상 유무를 보고하며 생산 품질 유지에 기여합니다.

이 직무는 손의 기민함과 정밀한 작업 능력, 집중력, 협업 능력이 중요하며, 반복적인 작업에서도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체 요약한 내용 확인하기

되는 법

전기전자부품조립원되는법
전기전자부품조립원 되는 법

전기전자부품조립원이 되기 위해 특별한 자격증이 필수는 아니지만, 관련 전공이나 직업훈련을 이수하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진입할 수 있습니다.

  • 관련 고등학교 또는 특성화고 졸업: 전자기계과, 전기과 등 전기전자 관련 학과 졸업 후 기업체 생산직 채용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 기능사 자격 취득: 전자기기기능사,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전기기능사 등 자격증을 취득하면 기술 숙련도와 채용 경쟁력이 향상됩니다.
  • 직업훈련기관 교육 이수: 고용노동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산하 직업전문학교에서 실시하는 전기전자 부품조립 교육과정을 수료하면 취업 연계가 가능합니다.
  • 생산직 인턴 및 현장 경험: 초보자 채용이 활발한 분야이므로, 기업체의 생산직 인턴이나 파견직으로 시작해 경력을 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기술 경력 및 자동화 장비 숙련: 일정 경력이 쌓이면 SMT(Surface Mount Technology), AOI(자동광학검사기) 등 자동화 장비의 조작 및 유지보수 담당으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채용 시 꼼꼼함, 책임감, 근면성실함 등이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되며, 협업 능력과 장시간 근무에 대한 인내력도 요구됩니다.

실제 종사자가 알려주는 이야기 확인하기

연봉

전기전자부품조립원연봉
전기전자부품조립원 연봉

전기전자부품조립원의 연봉은 근무 지역, 경력, 기업 규모, 근무형태(정규직, 파견직 등)에 따라 달라지며, 아래와 같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 초보 및 신입: 월급여 약 200만 원 내외이며, 상여금이나 수당 포함 시 연봉은 2,500만 원에서 3,000만 원 사이입니다.
  • 경력직: 숙련공으로서 생산라인 리더 역할을 수행할 경우 연봉은 3,500만 원에서 4,000만 원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대기업 및 정규직 채용: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 계열사에 정규직으로 채용되면 기본급 외에 복리후생, 상여금 포함 시 연봉은 4,000만 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자동화 기기 조작 및 검수 담당: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공정에서 숙련된 조작원은 4,000만 원 이상의 고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규직 전환 기회와 승진 가능성, 장기근속 시 복리후생의 안정성 등으로 인해 제조업 분야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전기전자부품조립원자세한내용

728x90
반응형